본문 바로가기
기타

일본 연쇄상 구균 독성쇼크증후군 확산, 증상, 예방 방법, 국내 상황

by 솔직 공부 2024. 3. 22.

코로나19가 지나가고 새로운 질병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연쇄상 구균 독성쇼크증후군이라는 질병입니다.

현재 일본에서 확산이 의심되고 있으며, 치사율이 낮지 않기 때문에 예의 주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연쇄상 구균 독성쇼크증후군 뜻, 증상, 예방 방법, 일본 및 국내 상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본-연쇄상-구균-독성쇼크증후군-소개

 

연쇄상 구균 독성쇼크증후군

일본 연쇄상 구균 독성쇼크 증후군 (Streptococcal toxic shock syndrome, STSS)는 연쇄상구균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병입니다.

주로 A군 연쇄구균 황색 포도균에 의해 발생합니다.

 

 

피부 감염, 인후 감염, 상처를 통해 감염될 수 있으며, 사람 간 접촉을 통해 전염될 가능성은 낮습니다.

이 질병은 합병증을 유발하면서 심할 경우 사망까지 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상

  • 경미한 호흡기 증상
  • 고열, 오한
  • 피부 발진
  • 근육통
  • 구토, 메스꺼움, 설사
  • 저혈압, 쇼크
  • 사구체신염
  • 류마티스열
  • 괴사성 근막염
  • 다발성 장기부전
  • 독성쇼크증후군

 

초기에는 독감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 병이 점점 심해지면, 치명적인 질병으로 진행됩니다.

특히, 호흡부전이 발생할 경우 치사율이 높아집니다.

 

 

일본 확산

일본 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 환자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 질병은 지금 처음 발병한 것이 아니고, 이전부터 있었던 질병이 최근에 확산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코로나19로 인하여 사람들이 사회적 거리 두기와 마스크 착용을 하면서 환자가 감소하였다가, 최근 증가 추세를 보이는 것입니다.

이전에 비해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2023년은 941명이 되었고, 2024년은 올 초 2달 기준으로 했을 때 414명으로 환자 수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올 초에 걸린 환자 414명 중 90명이 사망하여 치명률 21.7%를 기록하였고, 50세 이상에서는 치명률이 24.0%로 기록되었습니다.

현재 일본 47개 현 중에서 45개 현에서 발병했기 때문에 일본 내에서는 확산되는 것으로 의심되고 있습니다.

 

국내 상황

국내에서는 연쇄상 구균독성쇼크증후군을 법정감염병으로 분류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따로 신고를 받고 있지는 않지만, 본인이 이 질병 증상이 의심된다면 의료기간에 방문하여 신속하게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사람 간에 전파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국내에서 유행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정부에서는 STSS의 환자가 증가하면서 국내외 발생동향을 살펴보고 있습니다.

성홍열 합병증 환자 전수 역학조사, 급성 호흡기 환자 병원체 감시사업을 통한 감시체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3년 성홍열 환자는 810명 발생하였습니다.

이 수치는 코로나19 전에 비해 매우 낮은 수치입니다.

성홍열 환자를 확인하는 이유는 STSS와 동일한 원인병원체인 A군 연쇄상구균 (GAS)의 감염으로 발병할 수 있는 질병이기 때문입니다.

 

 

예방 방법

  • 손을 자주 씻고, 개인위생을 철저히 합니다.
  • 상처가 발생할 때 상처부위의 노출을 최소화며, 상처를 관리해야 합니다.
  • 비말로 인한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마스크 착용 또는 입을 가리고 대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 본인이 의심 증상이 있다면 의료기간에 빨리 내원하여 치료받는 것이 좋습니다.
  • 특히, 고령자, 당뇨병 환자, 수두 환자 등의 경우 이 질병에 더욱 취약하므로 의심 증상이 있으면 빨리 병원을 방문하시길 바랍니다.

 

일본에서 확산 중인 연쇄상 구균 독성쇼크증후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요즘 시대는 해외를 오가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질병이 발생하면 그 나라만의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글로벌 환경인만큼 질병도 글로벌화되었는데요.

언제 어디서 이 질병에 노출되지 모르기 때문에 예방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증상이 있으시면 빨리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치료받으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