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황별 언어

장례식장 발인 조문 절 인사말 에티켓

by 솔직 공부 2024. 3. 6.

상황별 언어에 대한 두 번째 시간입니다.

이번 상황은 장례식장에서의 발인 절차, 조문 방법, 절 하는 법, 인사말 관련 내용입니다.

세부적으로는 발인절차 과정, 조문 시간 및 조문 방법, 절하는 법, 인사말, 에티켓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장례식장-인사말-에티켓-소개-사진

장례식장 발인 조문 절 인사말 에티켓

1. 장례식장 발인 절차

시신 준비

장례식장에서는 시신이 잘 정돈되고 준비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는 시신이 적절히 꾸며져 있고, 안정적으로 누워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가족과의 소회

장례식장에 도착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빈소 앞에서 가족과 소회를 나눕니다.

이는 죽은 사람에 대한 마지막 고별과 가족에게 위로의 말을 전하는 시간입니다.

빈소를 떠나는 시간

빈소에서 발인식이 진행되기 전에 시간을 두어 가족과 친구들이 마지막으로 시신을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합니다.

발인식

발인식은 종교적인 의식이나 가족의 요청에 따라 다양하게 진행됩니다.

일반적으로는 목회자나 사제가 음식을 읽고 기도를 드리며, 참석자들이 죽은 사람에 대한 마지막 기도를 드립니다.

묘지 이동

발인식이 끝나면 시신이 묘지로 이동됩니다.

마지막 작별

묘지에 도착하면 가족과 다른 참석자들은 마지막으로 시신을 보고 작별을 고합니다.

 

2. 장례식장 조문 시간

입관시관 및 발인날은 조문을 하기 어렵습니다.

첫째 날 또는 둘째 날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까운 친인척이나 지인일 경우에는 빠르게 방문해 장례준비를 도와주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첫째날은 아직 장례준비가 완전히 되지 않았을 수 있기에 둘째 날에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과거에는 시간 상관없이 계속 방문하였으나, 최근에는 자정 이후에는 자제하는 추세입니다.

 

3. 장례식장 조문 방법

장례식장에 도착하면 방명록을 작성하고, 부의금을 전달합니다.

유족에게는 목례를 하며 분향을 합니다. (기독교는 헌화를 합니다.)

고인에게 절을 2번 올립니다.

유가족과는 맞절 1번을 합니다. (기독교는 절 대신 목례를 합니다.)

간단하게 인사말을 해도 되고, 생략해도 됩니다.

분향

분향은 무릎을 꿇고 오른손으로 향 1개 또는 3개를 집어 왼손으로 받친 뒤 불을 붙입니다.

불을 끌 때는 절대입으로 불어서 끄면 안됩니다.

왼손으로 가볍게 흔들어 끄면 됩니다.

꺼진 향은 왼손에 받쳐 향로에 꽂으면 됩니다.

헌화

헌화는 오른손으로 꽃줄기를 잡고 왼손으로 오른손을 받친 다음 꽃봉오리가 영정사진을 향하게 올립니다.

5인 이상 방문 시 대표로 한 명이 분향 또는 헌화를 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4. 장례식장 절

자세를 바로하고 공수한 손을 눈높이로 올립니다.

왼쪽 무릎이 먼저 땅에 닿고 오른쪽 무릎이 다음으로 닿게 무릎을 꿇습니다.

몸을 앞으로 깊게 숙여 절을 합니다.

일어날 때는 오른쪽 무릎을 먼저 올리고 다음으로 왼쪽 무릎을 올려 일어나면 됩니다.

장례식장에서 절 횟수는 고인께는 두번 반, 상주와는 한번 반 절을 올리게 됩니다.

남자는 오른손을 위로 하고, 여자는 왼손이 위로 하여 손을 포개고 절을 하게 됩니다.

종교적으로 절을 하지 않으면 묵념으로 대신하면 됩니다.

 

5. 장례식장 인사말

장례식장에서 유가족에게 전달하는 말은 따뜻하고 위로가 되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는 장례식장에서 유가족에게 전달할 수 있는 일반적인 말입니다.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조의를 표합니다.
  • 얼마나 상심이 크시겠습니까?
  • 얼마나 마음이 아프시겠습니까?
  • 얼마나 애통하십니까?
  • 어떻게 위로의 말씀을 드려야할지 모르겠습니다.
  • 저도 마음이 아프네요. 사랑하는 분을 잃어 너무 슬프겠어요.
  • 사랑하는 사람을 잃어 마음이 아프겠지만, 함께 슬픔을 나눠요.
  • 당신의 사랑하는 분이 항상 당신과 함께 계실거에요.

 

6. 조문 에티켓

  • 휴대폰은 진동으로 바꾸고 큰 소리로 통화하지 않습니다.
  • 식사시 과도한 음주는 삼가고 건배를 해서는 안됩니다. 상주에게 악수를 청해서는 안됩니다.
  • 부의금은 3만원, 5만원 등 홀수로 내는 것이 좋으며, 헌 지폐보다는 새 지폐를 내는 것이 좋습니다.
  • 장례식장에서 웃고 떠들지 않습니다. 상주가 어리다 하더라도 반말이나 예의없이 행동해서는 안됩니다.
  • 고인의 사망원인을 상세하게 묻지 않습니다.

 

장례식장 장례식장에서의 발인 절차, 조문 방법, 절 하는 법, 인사말 관련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또한, 옷, 신발, 화장 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습니다.

위의 내용을 참고하셔서 장례식장 상황에서 적절하게 행동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